Yaru, Writer

WriterYaruPhotography Daniel BrightInterview Daniel Bright 서울, 2021년 7월 중순쯤폭염이 한창인 날, 연남동 작업실에서 출발해 땀을 흘리며 차를 타고 서울 북동쪽으로 갔다. 오늘도 작가와 인터뷰를 하러 가는데 이번에는 나에게 특별히 기대할 만한 만남이다. 왜냐하면 오늘 만나는 작가는 어떤 면에서 나와 같은 작업을 하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그는 글을 쓰는 작가이다. 오늘 아침 성경공부를 위해 조엘을 기다리며 어제 받은 야루 작가의 두번째 책을 일단 첫 다섯 편만 읽어 보았다. 다섯 편밖에 안되는데 두번이나 눈물이 났다. 어떻게 봐도 하나님이 주신 재능인 듯하다. 작업실에 에어컨이 잘 작동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무거운 촬영 장비를 들고 일단 건물에 슬슬 들어가 본다. Seoul, Mid-July, 2021On one of this year’s first days of searing heat I leave my office in Yeonnamdong, and, despite the wafts of aircon streaming through my car, sweat the drive towards somewhere or other in northeast Seoul. I’m particularly looking forward to today’s interview. This artist is somewhat similar to me in his choice of medium. He is a writer. I received Yaru’s second, and most recent, book only last night, and managed to read the first five chapters as I waited at the coffee shop for Joel to come so we could read the Bible together earlier this morning. Just five chapters, but I cried twice. Whatever else this is, it must be a God-given gift of writing prose. With the deepest hope his studio has a good airon unit, I lift my heavy bag of equipment and make my way into the old burgundy brick building. Q. 이 곳은 어떤 공간인가요? Tell me about this space. 일단 여기는 제가 음악 작업도 하고 글도 쓰고 하는 공간이에요. 그리고 제가 워낙 작고 귀여운 소품 모으는걸 좋아해서 이 공간을 그 소품들로 채우게 되었어요. 최근에는 여기서 작곡이나 작사 같은 음악 작업을 많이 하고 있어요. 무엇을 중점적으로 라고 할 건 없지만 좋아하는 일들을 여기서 해요. 얼마전에 제가 새롭게 작업한 노래도 여기서 만들었어요. This is the space where I work on my music and writing. I really like collecting vintage items and cute things, and as they all came together I ended up creating this space here. I write and produce music and songs. I do things what I like here. The song I worked on recently was made here too. Q. 어떤 장르의 음악을 만드시나요, 또 어떻게 책을 내게 되셨나요? What genre of music do you make and how did you write the book? 주로 80,90년대 R&B 계열의 음악을 만들어요. 지금도 그런 작업들을 하고 있어요. 저는 예전의 음악을 아주 좋아해요. 특히 90년대 우리나라 가요를 좋아해요. 그래서 그 영향을 많이 받았어요. 마찬가지로 책을 쓰게 된 것도 이러한 영향 때문이에요. 예전의 그 감성을 토대로 음악으로 만들기 어려운 주제의 이야기들을 모아서 책으로 만들게 됐어요. 부모님들이 들려 주시는 이야기, 우리 주변의 아이들 이야기 등 일상적인 것들을 모아서 책을 만들고 싶었다고나 할까요. 그래서 그렇게 책을 내게 되었어요. I usually make 80s,90s RnB. I’m currently working on those music. I love old music, especially Korean pop music from the 90s. I'm influenced by them a lot. Writing a book was inspired by those music, too. There’s certain things that are difficult to express in music, and so I took those topics and ended up writing a book. There’s so many stories from my parents and my childhood. And as they all came together I wanted to make a little book of prose or something, and that’s what I did. Q. 책에서 어머님 이야기가 많이 나오는데요. 어머님은 작가님에게 매우 소중한 분이시죠? You write a lot about your mother. Is she very precious to you? 그렇죠. 솔직히 부모님이 나에게 어떤 의미인지에 대해 어떻게 설명해야 하는지 한 번도 생각해본 적은 없거든요. 책을 쓰면서 알게 된 것 같아요. 소중히 간직하고 있는 물건 같은 존재이죠. 서랍장 안에 소중히 넣어 둬서 어디 있는지 모를 때도 있지만, 항상 그곳에 있는 아끼는 존재 같은 거요. Yes, she is. I haven’t really thought about how I would describe what my parents mean to me. I think it came to mind while writing my book. They’re like an item you keep dearly. You put it away in a chest of drawers or something, and sometimes you don’t consciously know where it is, but it’s there. Q. 어머님도 물건 모으는 거 좋아하시는 것 같은데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Your mother also seems to like collecting things; why is that? 추억과 지나간 기억을 소중히 여기는 것 같아요. 제가 그것을 물려받은 것 같구요. 물건을 버리지 않고 모은다는 건 단순히 가지고 있다는 것을 넘어 그때의 시간과 기억에 대한 애정을 간직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에요. 어릴적 사진을 인화해서 가지고 있는 것과 온라인 드라이브에 저장된 것은 사실 느낌이 완전히 다르거든요. 왜냐하면, 손으로 만져지는 물질이라는 것은 훨씬 이야기거리가 있어요. 그 사진을 인화하러 갔던 시간, 앨범에 예쁘게 꼽아 두었던 과정 등등, 눈으로 단순히 보는 것보다 수 많은 감성의 가치가 있기 때문이죠. She appreciates memories and the past. I think I’ve taken on that habit as well. Collecting things and not throwing them away is more than just having them, but also keeping their affection for the time and memory. There is such a big difference between a picture saved in an online drive and having the actual picture of your childhood. Because an object you can physically touch has more to talk about. It has so much more emotional value like the time you spent printing the picture, the process of putting it in an album. Q. 정말 변하지 않는 것들이 있을까요? Are there really some things that never change? 물론 있죠. 사람을 향한 사람들이 지닌 따듯한 마음 같은거요. 그리고 이런 것에서 오는 진짜 변하지 않는 가치도 있구요. 특히 이런 것들은 예전의 것들에서 저는 많이 느껴요. 유치원때 입었던 교복, 초등학교 때 일기장, 중학교 때 들었던 음악. 그런 것들은 정말 변하지 않고 늘 위안을 줘요. 그건 누구에게나 해당하는 것 같아요. 우연치 않게 그런 것들을 펼쳐 볼때면 말도 안되게 늘 같은 기쁨을 받아요. 끊임없이 변하는 것만 좋아하는 요즘 시대에도 이런 것들은 절대 변하지 않을거에요. 횡단보도에서 어르신들이나 아이들의 손을 잡고 같이 건너줄때 우리가 그걸 보면서 위로를 받는 것 처럼 그런 것들은 절대 변하지 않아요. 저 어릴적엔, 어떤 애기가 길을 잃으면 모르는 아이인데도 엄마가 올 때까지 길거리에서 함께 수박 먹으면서 같이 기다려 주고 그랬어요. 그런 따듯한 것들이요. 그런 것들은 변하지 않아요. There are. Like a warm heart that people have for people. There are values that don’t change too. I mostly get those feelings from old things. Kindergarten uniform, diary from elementary school, music from middle school.Those things don't change and always brings me comfort. I think that’s true for everyone. When I happen to see such things, I always get the same joy. These things will never change even in these days when people like to change endlessly. Those things never change, just as we are comforted by watching someone holding hands of the elderly or children at the crosswalk. If a child had lost their mother, even if you didn’t know them, you’d sit with them by the side of the road and eat watermelon together until their mother came back. Warm things like that stay the same. Q. 코로나 팬데믹 상황이 좋아진다면 가장 먼저 하고 싶은 일은 무엇인가요? If the current pandemic situation improves, what’s the first thing you want to do? 도쿄 여행을 가고 싶어요. 일본의 물건과 그 곳의 감성을 좋아하기 때문에 원래 1년에 한두 번씩은 갔어요. 도쿄가 복잡하긴 한데 도쿄의 변두리로 가면 그렇지도 않아요. 특히 도쿄만의 특별한 분위기를 좋아해요. 도쿄의 밤 가로등 불빛 색을 정말 좋아해요. Definitely go to Tokyo. I just really like Japanese products and the feeling of the place. I used to go once or twice a year. It is a big, complex city, but the outskirts are different. It has a special atmosphere I really like. I really like the color of the streetlights at night in Tokyo. Q. 시간 여유가 있을 때는 무엇을 하나요? What do you do in your free time? 혼자 있을 때면 새로운 물건과 새로운 장소를 많이 보러 다녀요. 특히 우연히 만나는 것을 좋아하죠. 사람이건 사물이건. 얼마 전에 지방에 갔는데 그 곳에서 갔던 시장이 있었어요. 대전이었나? 그 곳에 작은 가게들이 많았는데 유리병도 팔고 컵도 팔고 요즘에는 구할 수 없는 것들이 있어서 그 시장을 한참이나 돌아다녔어요. 그 가게에 대해서 글도 썼구요. 아무튼 여유가 있을때는 그냥 막 걷고 이곳저곳 돌아다녀요. 집에 잘 안가요. When I’m on my own I like to look for things and go to new places. I like finding them almost by mistake. I remember going to a market in the countryside. Was it Daejeon maybe? There were small shops selling glass bottles and cups, and so many old things I can't find these days, so I walked around for a long time. I even ended up writing about it. When I have time, I just walk around rather than going home. Q. 현재 계획 중인 프로젝트가 있나요? Do you have any projects you’re planning at the moment? 솔로 미니 앨범을 지금 준비하고 있어요. 제가 노래하는 건 아니고요 (웃음). 음악 작업을 정말 좋아해서 앨범을 내야겠다는 생각을 계속 하고 있었는데 지금 타이밍이 딱 맞아서 작업을 계속하고 있어요. 다른 작업들 때보다 재밌게 작업하고 있어요. 그리고 간간히 세번째 책을 내야하나 말아야 하나 진지하게 궁리도 하고 있어요. 뭐 재밌으면 뭐든 하게 되겠죠? I’m hoping to release my own solo album. Although I won’t be doing the vocals.I really like making music, so I've been thinking about releasing an album, and I'm working on it because the timing is perfect. I'm having more fun working on it than other works. And I'm seriously thinking about whether to release my third book or not. Well, if it's fun, I'll do something, right? 『변하지 않는 건 있더라고』, 야루 구매 페이지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ejkGb=KOR&mallGb=KOR&barcode=9791196309114

데이마크

logo
LOG IN 로그인
  • ABOUT
    • PROJECT
      • EXCUSE ME
        • EXHIBITION
          • JOURNAL
            • SHOP

              데이마크

              logo
              • ABOUT
                • PROJECT
                  • EXCUSE ME
                    • EXHIBITION
                      • JOURNAL
                        • SHOP
                          Search 검색
                          Log In 로그인
                          Cart 장바구니

                          데이마크

                          logo

                          데이마크

                          logo
                          • ABOUT
                            • PROJECT
                              • EXCUSE ME
                                • EXHIBITION
                                  • JOURNAL
                                    • SHOP
                                      Search 검색
                                      Log In 로그인
                                      Cart 장바구니

                                      데이마크

                                      logo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사업자정보확인

                                      상호: 데이마크 | 대표: 김연진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김연진 | 전화: 010-9016-8116 | 이메일: daymark_kim@naver.com

                                      주소: 서울시 중구 남대문로 5길 9 삼옥빌딩 702호 | 사업자등록번호: 838-04-01417 | 통신판매: 201-서울 중구 -1876호 | 호스팅제공자: (주)식스샵

                                      floating-button-img